모유수유 중 커피를 마셔도 될까? 카페인 섭취
커피가 생활화된 현대인들에게 모닝커피와 점심식사후 마시는 커피는 기본중에 기본이 아닌가 싶어요!!
특히 더운 여름에는 시원한 아이스 커피가, 선선한 날씨에는 따뜻한 라떼의 여유를 누리고 싶을 것 같은데요!!
이렇게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만큼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을 조심해서 마셔야할 분들이 있는데요!!
바로 그런 사람들은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한 여성들입니다.
정확한 정보는 없지만 막연히 나쁠 것이라는 카페인, 임신중에도 절제하며 먹던 커피인데..
임신을 하고나서부터 카페인이 태아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말들로 인하여 임신기간 10개월간 커피를 중단하고, 디카페인 커피를 마셔왔던 임신부에게 출한후에는 마음껏 마실꺼라는 다짐을 하였지만....수유라는 또하나의 장벽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특히 막 산후조리를 시작한 수유부 맘일 경우에 내가 먹은 커피가 아이에게 전달되지 않을까 걱정을 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인터넷 검색과 담당의사에게 문의를 하곤 하는데요!! 그래서 대부분의 수유부들은 제한하는 음식들이 많다고 합니다.
저또한 미운 4살을 키우고 있는 아빠로서, 임신과 모유 수유할 때 아이엄마가 커피를 그리워하던 모습이 눈앞에 선합니다. 저희부부도 커피를 즐겨 하다가, 1일 1잔은 괜찮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저희 와이프는 1주일에 1잔으로 타협했다는....소식을 전하며~~
<최근 약 200명 수유부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수유 중 산모가 섭취를 제한한 음식 순위>
1. 카페인 음료(90.3%), 2. 김치 등 매운 음식(85.5%), 3. 날음식(75.2%), 4. 찬음식(69%)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의 의견>
언론을 통하여 나온 전문가 의견이나 전문 서적을 통하여 정리해 보면
1. 산모가 섭취한 카페인의 경우에 모유를 통하여 아이에게 전달 되는 양은 약 1%정도 전달된다고 합니다.
2. 일반적으로 엄마가 하루에 섭취하는 카페인의 양이 300mg이하로 섭취한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3. 식품내 포함되어 있는 파체인의 양
- 커피믹스(약 60mg), 전문점 커피(40~125mg), 녹차(15mg), 콜라(25~35mg) 등
4. 그래서 한잔의 커피는 괜찮을 것이라고 하지만, 여기서 생각을 해야 할 것이 카페인은 커피에만 들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콜라, 초콜릿, 녹차, 감기약, 진통제 등 우리가 섭취하는 종류의 것을에서 다양하게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5. 또한 카페인은 유아 몸안에 축척됩니다. 아기가 최소 4개월 이상 되어야 카페인을 분해하는 능력이 생긴다고 합니다.
6. 일반적으로 1일 1커피는 크게 무리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단, 다른 카페인 음식은 절제 한다면 말입니다. 이론적으론 5잔정도 커피까지 먹더라도 가능하다고 하지만, 좋지 않은 것을 무리하게 시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7. 디카페인 커피의경우에, 화학약품으로 분리하여 나온 것들이 있다고 합니다. 화학적 약품처리 없이 이용해 만든 디카페인 커피를 드시는 것이좋다고 하네요!!
임신부터 출산 그리고 수유에 걸쳐서 엄청 오랜기간 입니다. 100% 절제하여 아이에게 좋은 것만을 주고 싶다는 마음이실 텐데요!!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다면 가장 좋은 방법이겠지만, 무리한 절제로 엄마가 스트레스 받는다면 그영향이 또한 아이에게 가지 않을까요?
적정 수준에서 전문가들이 허용하는 범위에서의 조금씩 여유를 갖는 것도 좋겠습니다. 매일 한잔보다는 2~3일에 한잔 정도로....
엄마들은 위대한것 같습니다. 산모의 건강과 아이의 건강이 함께 하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거리두기 5인이상 집합 금지 식당 카페 전국 21년 1월 31일 기준 (0) | 2021.01.31 |
---|---|
심뇌혈관 질환 예방법 심근경색 뇌졸중 예방법 (0) | 2020.12.18 |
침묵의 장기 간, 만성 간질환 예방법 (0) | 2020.11.07 |
독감 예방접종 주의 사항 이상반응 국가 보상청구 방법 (0) | 2020.10.27 |
동맥경화와 콜레스테롤 그리고 고지혈증 (0) | 2020.10.22 |
댓글